본문 바로가기
재테크

연금저축계좌 노후준비? 아니면 연말정산?

by ^^@ 2021. 3. 23.

연금저축 계좌는 안정적인 노후생활 준비를 위해 개인이 일정 금액을 적립하는 저축계좌입니다. 방점은 '안정적인 노후생활 준비'입니다. 하지만 요즘은 방점이 '세액공제'에 있는 것 같더군요. 그렇다면 어디에 중심을 두어야 더 이득일까요? 

 

 

1. 연금저축계좌 혜택

1) 다양한 세제혜택

  • 납입 당해에 세액공제(최대 16.5%, 66만원) 혜택
  • 납입 중 과세이연 효과 : 연금수령 시까지 발생된 수익은 세금을 과세하지 않음
    예를 들면 일반 계좌에서 해외펀드로 이익이 생겼다면 15.4% 배당소득세를 내야 하는데 연금저축계좌에서는 이것을 연금을 수령할 때 3.3%~5.5% 연금소득세로 내게 됩니다. 그러면 그동안 냈어야 할 세금을 굴려 더 많은 자산을 이룰 수가 있는 것입니다. 
  • 연금 수령 시 만 55세 이상 10년 이상 일정 금액 수령의 요건을 충족하면 저율과세(3.3%~5.5%)
  • 분리과세 : 연금 수령 시 연 1200만원까지 연금소득세(저율과세 3.3%~5.5%), 초과분은 종합소득 과세 대상
    이 혜택은 연금수령 시 연 1200만원이 넘지 않고 수령기간을  10년 이상으로 설정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.

2) 안정적인 노후준비

  • 연금저축계좌 적립금과 연금계좌 자산을 운용해 얻은 수익금을 연금형태로 수령할 때 노후가 안정적입니다.

3) 연금저축계좌 기본 정보

구분 내용
가입대상 누구나 가입 가능
(세액공제는 소득이 있어야 가능)
납입한도 연간1800만원+ISA계좌 만기(3년이상)시 연금계좌 전환금액
세액공제 한도 연400만원+ISA만기 전환금의 10%(최대 연 300만원)
공제율 16.5% 또는
13.2% (종합소득금액 4000만원 이상 또는 총급여 5500만원 초과)
연금수령 요건 가입 후 5년 경과, 만 55세 이후
연한도 계좌 평가금액 / (11-연금수령연차)* 120%
과세 5.5%(만 55세~69세)
4.4%(만 70세~79세)
3.3%(만 80세 이상)
분리과세 연간 1200만원(초과시 종합과세대상)
중도해지할 경우 기타소득세 16.5%
(세액공제액을 그대로 반환, 세액공제 13.2%받은 사람도 16.5%로 과세)

예외조항일경우 3.3%~5.5%
(천재지변, 사망 또는 해외이주, 파산선고 또는 개인회생 등)

 

 

4) 그 외 특징

  • 연금수령 이전까지 가입금액 이내에서 자유롭게 적립
  •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은 중간에 출금해도 과세 제외
  •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성이 가능
  • 자유로운 계약이전, 과세기간 전환

돈을-펼쳐-들고-웃고있는-할아버지
행복한 노후를 위한 선택

2. 연금저축 계좌의 한계점?

1) 무소득 자는 세액공제가 없다.

가입은 누구나 가능하지만, 세액공제는 세금 납부가 있어야 받는 혜택이므로 그 외의 소득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혜택이 없다. 예를 들면 연말정산 시 소득이 있는 본인만 세액공제 대상이고 다른 가족원은 연금저축에 가입해도 추가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습니다. 

 

2) 중도해지나 일시금 수령 시 불이익

중도해지나 일시금 수령 시에는 그동안 받았던 세액공제 혜택과 연금저축 계좌 내 자산을 운영해서 얻은 수익의 16.5%를 기타 소득세로 납부해야 합니다.

세액공제 금액 + 연금계좌내 자산운용 수익 → 16.5%의 기타소득세 납부

세액공제를 13.2% 받았어도 중도해지 시에는 16.5%의 기타 소득세를 납부해야 함

 

3) 내가 원하는 때에 원하는 금액을 수령할 수 없다.
55세 이후에 10년 이상 나눠서 받아야 저율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연금수령 시기에 목돈이 필요하면 불이익을 감수하고 해지해야 합니다.

 

 

3. 연금저축 세액공제에 대한 착각

세액공제를 위해 연금저축을 가입해서 66만 원 환급받을 줄 알았는데 세액공제가 생각만큼 크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있으실 텐데요.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요? 해답은 본인이 내야 될 세금의 액수에 있습니다.  

추가납부할 세액 = 기납부세금(원천징수) - 결정세액(연말정산시 결정)

간단히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.

(기타 다른 세액공제는 이미 계산되었고 연금저축 공제를 별도로 한다는 가정하에 계산하였습니다.)

기납부세금-결정세액
(추가납부할 세액)
[A경우]
-30만원
(30만원 추가 납부)
[B경우]

0원
[C경우]
30만원
(30만원 환급)
연금저축세액공제 30만원 세액공제 없음 세액공제 없음

여기서 세액공제만을 위해 연금저축에 가입하고 계실 경우에는 A 경우에만 연금저축에 해당 금액(182만원)정도만 불입하면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 계산은 아래와 같습니다. 

[ 약 182 ]만원 * 16.5% = 30만원 

본인의 세금은 국세청 홈텍스에서 지급명세서 제출 내역에서 원천징수 영수증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.

 

 

4. 50대를 위한 한시적 혜택은?

50세 이상 장년층의 세액공제 한도가 3년간(2020년~2022년) 한시적으로 연 200만원 확대했습니다. 

 

어느 정도 추가 혜택이 있는지 아래의 표를 참조하세요.

소득 세액공제한도
(50세 이상)
세액공제율 최대세액공제액
(50세 이상)
급여 5500만원 이하
/종합소득4000만원 이하
400만원
(600만원)
16.5% 66만원
(99만원)
급여5500만원초과~1.2억원 이하
/종합소득4000만원초과~1억원이하
400만원
(600만원)
13.2% 52만8천원
(79만2천원)
급여1.2억원 초과
/종합소득 1억원 초과
300만원 13.2% 39만6천원

 

이와 같이 연금저축계좌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. 연금저축은 만 55세 이후 10년 동안 연금형태로 수령할 때가 가장 이득이니, 각자의 처한 환경에 맞춰서 가능하다면 본래의 취지대로 안정된 노후를 위해 꾸준히 준비하시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.

 

다음 글은 연금저축계좌에서는 어떤 자산을 투자하면 좋을지, 연금저축계좌에서 ETF 이용한 자산배분 투자하는 방법에 해대 알아보겠습니다. 그리고 2021년에 개편된 ISA계좌의 만기자금을 연금저축으로 전환하면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는데요. 아래의 글을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.

 

댓글